카테고리 없음 / / 2025. 5. 20. 17:57

주 4.5일 근무제, 진짜 가능할까요?

반응형

요즘 사람들과 대화하다 보면, 이런 말 자주 들립니다.
“진짜 금요일 오후에 퇴근하면 얼마나 좋을까...”
그런데 이게 그냥 희망사항이 아니라, 이번 대통령 선거 공약으로 등장하고, 경기도에서 시범운영 중이라는 거 아셨나요?

주 4.5일제 말은 많이 들었지만, 정확히 뭐가 달라지는 건지, 또 진짜 실현 가능성은 있는지
한 번쯤 궁금했던 분들을 위해 정리해 봅니다.

테이블에 시계 사진

✅ 주 4.5일 근무제는 뭘까?

주 4.5일제는 말 그대로 주 5일보다 근무 시간을 줄이는 제도입니다.
다만, 완전한 ‘주 4일제’는 아니고, 금요일을 반일 근무 또는 휴일로 바꾸는 유연한 형태죠.

가장 흔한 운영 방식은 이런 식입니다:

  • 매주 금요일 오후만 근무하지 않고 조기 퇴근
  • 주당 35시간 근무제
  • 격주로 금요일을 전일 휴무

경기도는 이 중 하나를 선택해, 실제 공무원 조직에서 시범 운영하고 있습니다.
실험이라기보단, 현실 테스트에 가까워졌다는 점에서 이제는 정말 가능성 있는 이야기가 된 셈입니다.

✅ 근무 시간 단축이 화두가 됐을까?

사실 ‘근무시간 줄이자’는 이야기는 어제오늘 일이 아니에요.
하지만 이번에는 분위기가 다릅니다. 이유는 간단합니다.

  • 한국은 여전히 OECD 최고 수준의 장시간 노동국
  • 출산율 세계 최하위, 사회 전체가 지쳐 있는 상황
  • 특히 MZ세대는 돈보다 시간과 삶의 균형을 중요시하는 경향
  • 여야 대선후보들이 공약으로 채택하면서 본격화

이젠 그냥 ‘회사에서 배려해주면 좋겠다’가 아니라,
정책으로 밀어붙일 수 있는 타이밍이라는 얘기죠.

✅ 주4.5일 근무제 장점(뭐가 좋을까?)

근로자 입장에서는...

  • 금요일 오후에 가족과 영화관 가기
  • 주중에는 못했던 운동, 자기계발 하기
  • 번아웃 없이 재충전하고 다시 출근하기

회사 입장에서도요...

  • 요즘 직원들 쉽게 나가잖아요. 만족도 높아지면 이직률 낮아짐
  • 짧은 시간에 집중하는 문화 생기면, 오히려 생산성 올라감
  • 좋은 인재들 뽑기 유리해요. 복지가 곧 경쟁력이니까요

✅주4.5일 근무제 단점

그래도 역시 현실의 벽은 있습니다. 직장인 입장에서 가장 큰 걱정은 월급, 연봉입니다.

근무시간이 줄면 너무 좋지만 월급도 줄어드는 거 아닐까? 그게 가장 걱정이죠?

시급제·일급제 분들은 소득이 줄 수밖에 없을겁니다. 
연봉제라도 회사 방침에 따라 다를 수 밖에 없겠죠.  

게다가 업무가 줄어드는 건 아니니 짧은 시간에 더 많은 걸 해야 한다면 오히려 더 피곤할 수도...

회사 입장에선?

  • 생산직이나 서비스직은 인력 대체가 필요
  • 인건비 부담도 생길 수 있고
  • 무엇보다 “언제 쉬냐” “누가 대신하냐” 정하는 과정에서 혼선과 불만이 생길 수 있죠

✅ 그럼 4.5일 근무제 내 월급은 어떻게 될까?

경기도처럼 일부 시범 기관에서는 급여는 그대로, 근무시간만 줄이는 방식을 도입했어요.
말 그대로 워라밸 실험이죠.

하지만 민간 기업에서는 정규직 vs 계약직, 대기업 vs 중소기업
→ 완전히 다른 현실입니다.

현실적으로 보자면...

  • 공공기관, 대기업 → 급여 유지 가능성 높음
  • 중소기업, 자영업 → 적용 어렵고 급여 조정 필요 가능성 큼

즉, 모든 사람에게 똑같이 적용되기는 어렵다는 얘기입니다.

✅ 앞으로 진짜 도입될까?

지금 분위기를 보면 전면 도입보다는 선택형 + 시범 도입이 유력해 보입니다.

  • 업종에 따라 도입 여부 선택
  • 조직 내에서도 희망 부서 중심으로 유연하게 시도
  • 정부가 세금 혜택이나 임금 보전 지원 같은 대책 병행

이미 CJ ENM, 카카오게임즈, 경기도청 등은 시범적으로 운영하고 있고,
반응도 나쁘지 않다고 해요.

이제는 정치권 공약에서 끝나지 않고 실제 제도 설계와 현장 도입이 동시에 이뤄져야 할 때입니다.

✅ 마무리 – 지금이 변화의 문 앞일지도

주 4.5일제는 단순히 하루 쉬는 문제가 아닙니다.
우리의 삶 전체를 바꾸는 실험일지도 모릅니다.

  • 일과 삶의 균형을 다시 조정하고
  • 일하는 방식도 바꾸고
  • 결국은 어떤 사회에서 살고 싶은가를 묻는 질문이죠

이번 대선을 계기로 이 논의가 다시 주목받는 만큼,
그냥 구경만 하지 말고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변화가 뭔지 함께 생각해보는 것도 좋지 않을까요?

 

반응형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