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 / 2025. 7. 10. 18:37

트럼프 관세 서한! 한국 경제는 어디로 갈까?

반응형

최근 뉴스를 통해 트럼프 전 대통령이 보낸 관세 관련 서한에 대해 들어보셨죠?

한국 경제는 수출 의존도가 상당히 높은 편입니다. 이런 상황에서 미국이 대규모 관세를 부과한다면 우리 기업들은 물론, 국민들의 소비와 일자리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습니다. 최근 트럼프가 보낸 서한에는 기존보다 훨씬 강력한 경고가 담겼다고 해서 화제가 되고 있죠. 그래서 이번 글에서는 관세 유예 종료 시점과 서한 내용, 우리나라의 대응, 앞으로 예상되는 흐름까지 차근차근 정리해보려 합니다.

오늘의 뉴스

  1. 트럼프의 관세 유예와 그 배경
  2. 7월 7일에 보낸 관세 서한의 의미
  3. 우리나라 정부와 각 부처의 대응
  4. 앞으로의 전망과 우리가 준비할 것

🚀 트럼프의 관세 유예 그 배경

지난 4월, 트럼프 전 대통령은 미국과 무역을 맺는 국가들이 자국에 유리하도록 관세를 높일 경우 미국도 그만큼 보복하겠다는 새로운 상호관세(일명 Liberation Day Tariffs)를 발표했습니다.

당시 이 발표는 전 세계 금융시장을 뒤흔들 정도였죠. 한국과 일본을 포함한 주요 동맹국들은 당혹스러움을 감추지 못했고, 급하게 대책회의를 이어갔습니다.

그러자 트럼프는 한 발 물러서며 90일간 유예를 선언했습니다. 덕분에 우리 기업들은 그 기간 동안 잠시 숨을 돌릴 수 있었지만, 동시에 유예 만료일까지 미국을 설득하지 못하면 다시 큰 관세 폭탄이 떨어질 수 있다는 불안도 함께 지니게 됐습니다.

📩 7월 7일, 트럼프가 보낸 서한의 의미

유예가 끝나기 이틀 전인 7월 7일, 트럼프는 한국과 일본에 공식 서한을 보냈습니다. 서한에는 "8월 1일까지 미국이 요구하는 수준의 시장 개방과 무역장벽 완화 방안을 내놓지 않으면, 주요 수출품에 25%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적혀 있었습니다.

더 나아가 한국이 이에 맞서 미국산 제품에 관세를 올리거나, BRICS 국가와 전략적 연대를 강화해 반미적으로 움직이면 추가로 최대 10% 관세를 더 부과하겠다는 강력한 경고도 담겨 있었습니다.

단순히 경제 문제가 아닌 정치·외교적 압박 카드로까지 관세를 사용한 셈이라 우리 정부 입장에서는 더욱 까다로운 상황이 된 것이죠.

⚙️  우리 정부와 부처는 어떻게 대응하고 있을까?

 

지금 한국 정부는 무역대표부와 국가안보실을 중심으로 대응에 나서고 있습니다. 특히 여한구통상교섭본부장(산업통상자원부)이

워싱턴에 머물며 미국 USTR(무역대표부)과 직접 협상 테이블에 앉아 한국 입장을 강하게 피력하고 있습니다.

또한 위성락 국가안보실장은 방위비 분담금 협상과 더불어 관세 문제도 같이 테이블에 올리며 안보와 경제를 한 묶음으로 딜(deal)하려는 전략을 쓰고 있습니다.

외교부, 산업통상부, 국방부도 각각 실무 협상팀을 꾸려, 트럼프 행정부가 추가 압박을 넣지 않도록 바쁘게 움직이고 있습니다. 시한인 8월 1일까지는 불과 20여 일 남짓. 그 안에 미국을 어느 정도 설득할 수 있느냐가 관건입니다.

🔍 만약 협상이 실패한다면?

만약 최악의 경우가 현실이 된다면, 8월 1일부터 한국의 자동차, 반도체, 철강 등 주요 수출품에는 25% 관세가 부과될 가능성이 큽니다.

여기에 한국이 맞대응으로 미국산 제품 관세를 올린다면, 트럼프는 같은 폭의 관세를 추가로 부과하겠다고 이미 서한에서 못박았습니다. 게다가 BRICS와 전략적 연대 움직임이 보이면 추가 10%까지 관세를 더할 수 있다는 경고도 있어 부담은 더 커집니다.

이렇게 되면 우리 기업들 자동차, 반도체, 기계, 철강 같은 주력 산업 가격 경쟁력에서 큰 타격을 입고 이상 수출 경쟁력을 유지하기 어려워질 수도 있습니다 , 이는 고용, 투자, 소비 심리까지 줄줄이 영향을 줄 가능성이 큽니다.

🌱 5. 앞으로의 전망과 우리가 준비할 점

전문가들은 한국이 다시 한 번 자동차나 농산물 분야에서 일정한 양보를 할 가능성을 조심스레 점칩니다. 하지만 이번 협상은 단순히 관세를 피하기 위한 문제가 아니라, 우리 경제 구조가 너무 대외 의존적이라는 사실을 다시 한 번 깨닫게 하는 계기가 되고 있습니다. 그래서 더더욱, 각 기업과 가계가 리스크를 분산하고 대비해야 하는 이유가 아닐까요?

✅ 오늘의 정리

  1. 트럼프의 관세 유예는 한 차례 연장되며 8월 1일로 시한이 맞춰졌습니다.
  2. 7월 7일 서한에는 25% 기본 관세와 더불어, 한국이 반미적으로 움직일 경우 추가 10%까지 경고가 담겼습니다.
  3. 우리 정부는 무역대표부와 안보실을 중심으로 전방위 협상을 벌이고 있습니다.
  4. 하지만 근본적으로는 우리 경제의 취약성을 되돌아보고, 수출·무역의 리스크를 분산할 전략이 필요해 보입니다.

이 글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최신 소식도 계속 업데이트하겠습니다 😊

 

 

 

 

 

 

 

 

.

 

 

 

 

반응형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